컵타(Cup percussion)의 리듬 창작은 곡이 가지는 리듬과 특색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배경음악이 없이도 얼마든지 창작 리듬을 만들어 낼 수도 있지만, 곡이 활용될 때에는 반드시 곡의 음악적 특징을 파악하여야 한다. 첫 번째로, 곡의 악보를 면밀히 살펴보며 반복되는 구간과 간주 부분의 흐름을 파악하고, 두 번째로, 곡의 가사를 이해하고, 세 번째로, 곡의 리듬이나 안무 등의 특징을 파악한다. 이어 컵의 개수와 그룹원의 배치를 정한 후 컵타의 창작 리듬을 만들도록 한다.
1. 탁탁탁(→), 탁탁탁(←)
탁의 오른쪽 화살표 표기는 방향을 나타내며, 첫 번째 탁탁탁(→)은 탁을 세 번 연주하면서 컵을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두 번째 탁탁탁(←)은 같은 방식으로 컵을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며 연주하는 것이다.
2. 틱틱틱(→), 틱틱틱(←)
틱은 컵을 엎어놓은 상태에서 컵의 입구를 열고 연주하는 기법으로, 위의 탁탁탁(→)과 마찬가지로 화살표 방향으로 연주하되, 컵의 입구를 가는 방향 쪽으로 열고 연주를 하는 것이다.
3. 짝(건배RL), 짝(건배 짝(건배 R), 짝(건배L),
짝(건배) 짝(건배)은 컵을 내 양손이 아닌 다른 사람의 컵과 건배를 하듯이 부딪히며 소리를 내는 동작이다. 짝(건배 R) 짝(건배 R)은 서로 오른손에 든 컵을 마주치며 연주, 짝(건배 L) 짝(건배 L)은 왼손에 든 컵을 마주치며 연주, 짝(건배 RL) 짝(건배 RL)은 양손을 서로 마주치며 연주하는 방법이다.
4. 안녕 안녕
컵을 양손으로 들고 팔을 앞으로 뻗어 인사를 하듯 손목을 사용하여 오른쪽, 왼쪽으로 움직이는 안무 동작이다.
5. 스윽스윽
컵을 책상 위에 엎어 높은 상태에서 책상에서 떼지 않고 책상을 비벼 내는 동작 리듬이다. 방향과 박자는 곡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Kakao ID : whitelina1219
Instagram : @whitekim_cup
Korea cups by white kim
010 7679 0747
'컵타 > 연주기법 및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으로서의 컵타 활용(계획안, 수행평가, 발표회) (0) | 2019.07.15 |
---|---|
그룹 컵타 연주의 활용 (0) | 2019.07.15 |
컵타의 응용리듬 (0) | 2019.07.15 |
컵타의 기본리듬 (0) | 2019.07.15 |
컵타의 리듬과 악보표기 (0) | 2019.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