컵타의 연주기법
컵타의 컵과 연주자세
컵타(Cup percussion)의 컵은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깨지지 않는 소재의 컵을 사용하면 된다. 종이 컵, 플라스틱 컵, 메탈 컵 모두 사용 가능하며, 자신이 원하는 연주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스틱 컵을 활용하였다.
<그림1> 컵타의 컵
컵타의 악보
컵타는 명확한 음의 높이를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손뼉 치기, 책상 치기 등과 같은 동작과 컵의 이동에 따라 악보 표기를 한다. 손뼉 치는 소리(짝)은 타악기 악보의 셋째 칸에 표기하고, 손으로 책상 치는 소리(투쿠)는 첫째 칸에 표기하고, 컵으로 책상 치키(탁, 타카)는 둘째 칸에, 입구를 손바닥으로 치기(파)는 넷째 줄에, 컵 모서리로 책상을 치는 동작(톡)은 다섯째 칸에 표기하며, 이외에도 컵의 이동에 따라 여러 가지 기호를 사용한다.
<그림2> 컵타의 악보
컵타의 리듬과 악보표기
짝, 짝
짝은 손뼉을 치는 리듬 동작으로 컵타의 가장 기본적인 동작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타악기 악보의 세 번째 칸에 표기를 하게 된다. 짝은 컵을 손뼉을 치듯이 컵을 양손에 잡고 마주치는 동작을 말한다.
<그림 3> 짝의 악보표기 <그림 4> 짝의 동작
투쿠
투쿠는 손으로 책상을 치는 리듬 동작으로 타악기 악보의 두 번째 칸에 표기한다. 책상을 오른손(R, Right Hand), 왼손(Left Hand)을 따로따로 사용하여 연주하는 동작으로, 오른손은 투(R), 왼손은 쿠(L)로 표기한다.
<그림 5> 투쿠의 악보표기 <그림 6> 투쿠의 동작
짝업
짝업은 양손으로 손뼉을 친 후 컵을 잡아 위로 들어 올리는 리듬 동작을 말한다. 짝은 앞의 내용과 같은 표기를 하고, 업은 타악기 악보의 두 번째 칸에 ↑로 표기한다.
<그림 7> 짝업의 악보표기
<그림 8> 짝의 동작 <그림 9> 업의 동작
탁, 타카
탁은 컵을 양손으로 잡고 들어 올린 후 책상 위에 동시에 치는 것을 말한다. 타카는 마찬가지로 컵을 양손으로 잡고 들어 올려 오른손과 왼손을 나누어 번갈아 연주하는 리듬 동작을 말한다. 이 때, 타는 오른손 연주로 타(R), 카는 왼손 연주로 카(L)이며, 탁과 타카는 타악기 악보의 첫 번째 칸에 주어진 리듬의 음표대로 표기된다.
<그림 10> 탁의 악보표기 <그림 11> 타카의 악보표기
<그림 12> 타카의 동작
짝턴
짝턴은 손뼉 치기를 한 후 오른손을 왼쪽으로 비틀어서 컵의 왼쪽 부분을 잡는 동작이다. 짝의 표기는 앞과 같으며, 턴은 타악기 악보의 두 번째 칸에 ↺로 표기된다.
<그림 13> 짝턴의 악보표기
<그림 14> 짝의 동작 <그림 15> 턴의 동작
파
파는 한손으로 컵을 들고 다른 한 손으로 컵의 입구를 손바닥으로 치며 연주하는 기법이다. 파는 타악기 악보의 넷째 줄에 표기된다.
<그림 16> 파의 악보표기
<그림 17> 파의 동작 1,2
톡
톡은 컵을 기울이며 컵의 모서리로 책상을 비스듬히 치며 연주하는 기법이다. 타악기 악보 다섯 번째 칸에 표기된다.
<그림 18> 톡의 악보표기 <그림 19> 톡의 동작
패스 투 탁
패스는 한 손에 든 컵을 다른 손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이다. 패스의 기호는 컵이 옮겨지는 방향에 따라 ←, →로 표기되며, 타악기 악보의 세 번째 줄에 표기된다. 투는 오른 손으로 책상을 치는 동작이며, 탁은 컵으로 책상을 치는 동작리듬이다.
<그림 20> 패스 투 탁의 악보표기
<그림 21> 패스의 동작 <그림 22> 투의 동작
<그림 23> 탁의 동작
두구
두구는 컵을 책상 위에 엎어놓은 후 뒤집어진 컵의 밑바닥 부분 위를 양손을 사용하여 치는 동작을 말한다. 두구도 타카와 마찬가지로 한 손씩 번갈아가면서 연주한다.
<그림 24> 두구의 동작
틱
틱은 컵을 엎어놓은 상태에서 입구를 열고 책상에 치는 동작이며, 탁 보다 여린 소리가 난다. 컵이 가는 방향에 따라 컵의 모양이 달라질 수 있다.
<그림 25> 틱의 동작 1 <그림 26> 틱의 동작 2
툭
툭은 컵을 양손에 잡고 컵의 밑바닥 부분을 부딪치는 동작이다. 컵의 밑바닥은 컵의 옆면보다 두껍고 단단한 재질로, 옆면을 부딪치는 것 보다 더 또렷하고 높은 소리를 낼 수 있다.
<그림 27> 툭의 동작
컵타의 기본리듬
앞의 리듬 동작을 활용하면 컵타의 기본리듬을 다양하게 연주할 수 있다. 그 중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리듬들을 선별하여 보았다.
<그림 28> 기본리듬 1
<그림 29> 기본리듬 2
<그림 30> 기본리듬 3
<그림 31> 기본리듬 4
<그림 32> 기본리듬 5
컵타의 응용리듬
주고받기
컵타의 주고받기는 기본리듬을 연주하면서 마지막 박에 마주보는 사람과 컵을 주고받는 동작 리듬이다. 이 리듬은 기본리듬 악보의 마지막 탁 위에 ⇅로 표기된다.
<그림 33> 기본리듬 주고받기 악보표기
<그림 34> 기본리듬 주고받기 동작
넘겨주기
컵타의 넘겨주기는 주고받기와 마찬가지로 기본리듬의 마지막 탁 리듬에서 컵을 넘기는 동작으로, 여러 사람이 마주 앉은 구조에서 왼손에 잡은 컵을 오른쪽으로 넘겨주는 동작이다. 이 리듬도 기본리듬 악보의 마지막 탁 위에 ⟲로 표기된다.
<그림 35> 기본리듬 넘겨주기 악보표기
<그림 36> 기본리듬 넘겨주기 동작
www.riss.kr
www.riss.kr
컵타(Cup percussion)의 연주기법과 생활음악으로서의 활용방안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김하얀
* 부족하지만, 힘들게 노력하여 만든 것들입니다. 부디 무단복제 및 배포는 하지말아주세요 (댓글 및 출처명시 필)
화이트킴의 힐링뮤직
010-7679-0747
'컵타 > 연주기법 및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컵타(cup percussion)란? (0) | 2020.08.26 |
---|---|
교육자를 위한 컵타 (0) | 2019.07.16 |
노인을 위한 컵타(실버컵타) (0) | 2019.07.16 |
직장인을 위한 컵타 (0) | 2019.07.15 |
청소년을 위한 컵타 (0) | 2019.07.15 |